<개요>
- 신규 서비스를 등록하는 API를 작성하였습니다.
- 비지니스 로직이 담긴 serviceCode라는 필드가 추가 되었습니다.
<내용>
- 지난 시간에는 신규 서비스를 생성하였습니다.
- 이번시간에는 serviceId외에 입력하였던 serviceCode로 조회하는 API를 추가해보겠습니다.
반복되는 소스는 제외하고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path="/api")
public class ServiceController {
@RequestMapping(value="/services/{serviceCode}", method= RequestMethod.GET)
public @ResponseBody
List<DeviceModelDto> findServiceByServiceCode (@AuthenticationPrincipal LoginUserDetails loginUserDetails,
@PathVariable("serviceCode") String serviceCode) throws ServiceNotFoundException {
// @ResponseBody means the returned String is the response, not a view name
// @RequestParam means it is a parameter from the GET or POST request
ServiceDto serviceDto = serviceService.findServiceByServiceCode(serviceCode);
if((serviceDto == null) ||
loginUserDetails.checkNotAvailableService( serviceDto.getServiceId()) ||
StringUtils.isEmpty(serviceDto.getServiceId())
){
throw new ServiceNotFoundException(String.valueOf(serviceCode));
}
기존에 만들었던 getServiceByServiceId는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serviceId를 인자값으로 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serviceCode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입니다.
Service Layer에도 작업이 필요합니다.
public ServiceDto findServiceByServiceCode(String serviceCode) throws DataFormatViolationException {
Pattern codePattern = ValidationPattern.serviceCodePattern;
Matcher matcher = codePattern.matcher(serviceCode);
if(!matcher.matches()){
throw new DataFormatViolationException("Code value should be consist of alphabet lowercase, number and '-', (length is from 2 to 20)");
}
ServiceEntity serviceEntity = serviceRepository.findByServiceCode(serviceCode).orElse(new ServiceEntity());
return modelMapper.map(serviceEntity, ServiceDto.class);
}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입력으로 받는 serviceCode에 대해서도 기존과 동일한 검증로직을 적용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없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그러나 불필요한 요청이 Repository Layer까지 전달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Repository Layer는 언제나 비용이 가장 비쌉니다.)
기본적으로 MVC는 Layerd Architecture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Controller 로 돌아가서 윗 부분을 로직도 간결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path="/api")
public class ServiceController {
@RequestMapping(value="/services/{serviceCode}/devices", method= RequestMethod.GET)
public @ResponseBody
List<DeviceDto> findServiceByServiceCode (@AuthenticationPrincipal LoginUserDetails loginUserDetails,
@PathVariable("serviceCode") String serviceCode) throws ServiceNotFoundException, DataFormatViolationException {
ServiceDto serviceDto = getServiceByServiceCode(serviceCode, loginUserDetails);
return serviceDto;
}
private ServiceDto getServiceByServiceCode(String serviceCode, LoginUserDetails loginUserDetails) throws DataFormatViolationException, ServiceNotFoundException {
ServiceDto serviceDto = serviceService.findServiceByServiceCode(serviceCode);
if((loginUserDetails.checkNotAvailableService( serviceDto.getServiceId()) ||
StringUtils.isEmpty(serviceDto.getServiceId())
){
throw new ServiceNotFoundException(String.valueOf(serviceCode));
}
return serviceDto;
}
- Null 처리를 Service Layer에서 해주었기 때문에 Controller Layer에서는 삭제가 가능합니다.
- serviceCode로 조회되는 경우도 재사용을 할 수 있도록 getServiceByServiceCode로 묶어서 private 메소드로 구현하였습니다.
기본적인 내용이지만 잠깐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개발을 할때 습관적으로 메소드의 기본을 public 으로 작성합니다. 왜그럴까요? 일단 다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getter, setter 역시 습관적으로 모든 필드값에 만들어 놓고 시작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하지만 이러한 습관은 설계의 기본원칙을 무시하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private을 기본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public 메소드를 통해서 열어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메소드와 필드값 모두 동일한 원칙으로 적용합니다.
첫번째 시간에 LoginUserDetails내에서 service Id를 외부로 노출하지 않았던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사용자의 serviceId를 가지고 작업해야 경우가 생긴다면 해당 객체의 method call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 교과서적인 용어로는 객체간의 Interaction이라고 합니다. |
최종 작업을 통해서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작성되었습니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path="/api")
public class ServiceController {
@RequestMapping(value="/services/{serviceId}", method= RequestMethod.GET)
public @ResponseBody
ServiceDto findServiceById (@AuthenticationPrincipal LoginUserDetails loginUserDetails,
@PathVariable("serviceId") int serviceId) throws ServiceNotFoundException {
ServiceDto serviceDto = getServiceByServiceId(serviceId, loginUserDetails);
return serviceDto;
}
@RequestMapping(value="/services/{serviceCode}", method= RequestMethod.GET)
public @ResponseBody
ServiceDto findServiceByCode (@AuthenticationPrincipal LoginUserDetails loginUserDetails,
@PathVariable("serviceCode") String serviceCode) throws ServiceNotFoundException {
ServiceDto serviceDto = getServiceByServiceCode(serviceId, loginUserDetails);
return serviceDto;
}
private ServiceDto getServiceByServiceId(int serviceId, LoginUserDetails loginUserDetails) throws ServiceNotFoundException {
ServiceDto serviceDto = serviceService.findServiceById(serviceId);
if(loginUserDetails.checkNotAvailableService( serviceDto.getServiceId()) ||
StringUtils.isEmpty(serviceDto.getServiceId())){
throw new ServiceNotFoundException(String.valueOf(serviceId));
}
return serviceDto;
}
private ServiceDto getServiceByServiceCode(String serviceCode, LoginUserDetails loginUserDetails) throws DataFormatViolationException, ServiceNotFoundException {
ServiceDto serviceDto = serviceService.findServiceByServiceCode(serviceCode);
if((loginUserDetails.checkNotAvailableService( serviceDto.getServiceId()) ||
StringUtils.isEmpty(serviceDto.getServiceId()) ){
throw new ServiceNotFoundException(String.valueOf(serviceCode));
}
return serviceDto;
}
똑같은 로직이 반복되는 것이 눈에 보입니다.
serviceId , serviceCode의 차이만 있고 나머지는 거의 유사합니다.
호출되는 Service Layer의 메소드명, 인자값만 약간 다른 것을 보니 여전히 통합할 수 있는 부분들이 보입니다.
조회하는 조건값을 serviceId, serviceCode로 나누어서 동작하면 service 호출외의 부분은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분기조건에서 int, char, boolean을 쓰는 경우가 많았지만 적어도 Java에서는 enum type이라는 좋은 대안이 있습니다.
public enum SearchConditionType {
ID,CODE;
}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path="/api")
public class ServiceController {
@RequestMapping(value="/services/{serviceId}", method= RequestMethod.GET)
public @ResponseBody
ServiceDto findServiceById (@AuthenticationPrincipal LoginUserDetails loginUserDetails,
@PathVariable("serviceId") int serviceId) throws ServiceNotFoundException {
ServiceDto serviceDto = getServiceByCondition(SearchConditionType.ID, serviceId, loginUserDetails);
return serviceDto;
}
@RequestMapping(value="/services/{serviceCode}", method= RequestMethod.GET)
public @ResponseBody
ServiceDto findServiceByCode (@AuthenticationPrincipal LoginUserDetails loginUserDetails,
@PathVariable("serviceCode") String serviceCode) throws ServiceNotFoundException {
ServiceDto serviceDto = getServiceByCondition(SearchConditionType.CODE, serviceCode, loginUserDetails);
return serviceDto;
}
private ServiceDto getServiceByCondition(SearchConditionType searchConditionType, Object condition, LoginUserDetails loginUserDetails) throws DataFormatViolationException, ServiceNotFoundException {
ServiceDto serviceDto = null;
switch (searchConditionType){
case ID:
serviceDto = serviceService.findServiceById((Integer)condition);
break;
case CODE:
serviceDto = serviceService.findServiceByServiceCode((String)condition);
break;
}
if(loginUserDetails.checkNotAvailableService( serviceDto.getServiceId()) ||
StringUtils.isEmpty(serviceDto.getServiceId())){
throw new ServiceNotFoundException(condition.toString());
}
-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Validation Logic 을 하나로 통합하여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재사용을 고려하지 않고 ctrl + c, v를 무작정 사용해서 개발할 경우 나중에 수정사항이 발생했을 때의 여파는 생각보다 큽니다!
매번 수작업으로 find usages를 해서 소스를 고쳐야 하고, 다 고치고 나서도 불안하며, 테스트코드도 모든 케이스 개별로 다시 해야합니다.
- enum을 사용할 경우 유효하지 않은 값의 입력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enum의 활용도는 무궁무진합니다.
완벽한 싱글톤 객체로 사용되기도 하고(effective java), 코드 테이블용도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제 블로그에 Status 및 Operation 을 담는 객체로 활용한 예제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Object 를 특정 타입으로 캐스팅하는 것은 권장하고 싶지 않은 방법이지만 간단한 예제를 위해서 사용했습니다.
- switch문으로 분기문을 쭉 나열하는 것도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정리>
- 비지니스 검증은 되도록 Service Layer에서, Repository Layer는 접근 비용이 비쌉니다.
- 필드값, 메소드의 접근자는 생각하면서 사용합니다.
- ctrl + c, v는 없도록 합니다.
- Java enum은 다용도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는 어찌보면 간단한 구현이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비지니스는 더욱 복잡합니다.
- Join데이터들을 조회할 때 문제점
- 늘어나는 케이스마다 동일 변수 사용시 (e.g. serviceCode, serviceId) 공통화 할 수 있는 부분은?
- 테이블의 종류는 점점 늘어날 것인데, 조회된 값이 유효한지 (e.g. Id가 비어있지는 않은지, 0이 오지는 않는지) 매번 검증할 것인가
- 테이블 객체에서 검증할 것인가, 별도 객체에게 위임할 것인가.
- 만약 primary key의 타입이 달라지는 경우는 어떻게 비교할지
등등, 시간이 될때 마다 정리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Application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로 배워보는 디자인패턴 #5 - 추상화를 통한 파티션 테이블 자동 갱신하기 (1) (0) | 2024.07.03 |
---|---|
object wait / notify 를 활용한 API call count 제한 (0) | 2021.09.15 |
사례로 배워보는 디자인패턴 #2 - 비지니스 로직을 담자 (0) | 2019.10.17 |
사례로 배워보는 디자인패턴 #1 - 기본적인 MVC (0) | 2019.10.17 |
Azure IoT Hub를 이용한 Firmware Update기능 + Java enum을 활용한 디자인패턴 적용 (0) | 2019.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