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의 유형

데이터를 수집함에 있어서 크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다.

Event기반으로 계속 흘러들어오는 데이터와 기존 시스템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데이터.


데이터의 활용

 흔히 말하는 빅데이터 분석은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HDFS상에 적재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Map/Reduce등의 병렬프로그래밍을 통하는 것이었으며 최근에는 실시간 분석에 대한 요구도 높아져서 이를 위한 오픈소스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기존에는 적재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는 것과 실시간 Event가 분리되어 왔다면

앞으로는 두 종류의 데이터가 하나로 합쳐져서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을 구축한 뒤에, 실시간 데이터들을 모델에 적용하여 예측,분류,Anormaly Detection 등을 수행하게 된다.

 람다아키텍처에 대해서는 별도로 정리하도록 해야겠다.


데이터의 수집방법

 모델구축을 위해서는 대량의 데이터가 반드시 필요하여 이를 위해 대표적인 수집을 위한 오픈소스 툴로 Flume, Sqoop, Gobblin등이 있다. 현재 본인은 File,RDB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Gobblin을 사용하고, 그 외의 Event기반 데이터는 Flume을 사용하여 수집하고 있으며 메시지 유실, 분산처리 scale out을 위해서 Kafka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들을 스케쥴링하기 위해서 Oozie를 사용하고 있다.

 Hadoop Ecosystem에 따른 거의 보편적인 아키텍처라고 볼 수 있겠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면 많은 어려움이 있다. Cluster구조를 가져간다는 이야기는 결국 네트워크에 의한 멤버쉽 관리가 되어야 하며, 병렬처리를 위해서는 처리량의 분배가 균일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테스트를 통해서 적절한 수치를 찾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며, 막상 결과가 나왔을때 설명가능한 이유를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수많은 오픈소스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개별 설정도 어렵고, 서로 연관관계 있는 오픈소스들의 설정이 꼬여있을때는 오류발생의 주 원인이 되며 관리하기도 매우 어렵다.



이미지 출처 : http://7246-presscdn-0-21.pagely.netdna-cdn.com/wp-content/uploads/2015/02/Apache-Hadoop-Ecosystem.jpg


사례참고 

 해당 내용에 대한 아키텍처 공유사례는 많지만 구체적인 수치와 유형별 장단점에 대한 내용은 찾기가 어렵다.

실제로 같은 구성요소를 사용하더라도 그 모습은 요구사항에 따라서 천차만별로 구현된다.

최근 cloudera에 공유된 좋은 사례가 있어서 살펴보았다. 

(http://blog.cloudera.com/blog/2016/03/building-benchmarking-and-tuning-syslog-ingest-architecture-at-vodafone-uk/)


0. Overview

syslog를 수집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high-level의 아키텍처가 있다.

Flume, Kafka 모두 event기반으로 단위 건당 수바이트의 자료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오픈소스이며 내부구조에 대해서는 공식사이트를 참고하는 것이 가장 좋다.



1. 구성요소

Flume

Source-Channel-Sink의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이미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에 대해서 Source, Sink등이 구현되어 있어서 쉽게 가져다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부분은 사용자 구미에 맞게 코딩할 수 있다.

해당 사례에서는 syslog source - memory channel - Kafka sink와 Kafka source - memory channel - HDFS sink 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Consolidation - https://flume.apache.org/FlumeUserGuide.html)


Kafka

Kafka는 pub/sub구조의 message queue로 볼 수 있는데, 저장소로 Disk공간을 쓰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메시지 유실이 되지 않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한다. (그런데 메시지 유실이 되어도 됩니다 라는 시스템은 한번도 본적이 없다.;)


2. 검토요소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Number of collection tier agents and nodes
  • Number of Kafka sinks per collector tier agent
  • Number of Kafka brokers
  • Number of Kafka topic partitions
  • Kafka broker interconnect network
  • Number of Kafka sources
  • Number of edge tier nodes and Flume Agents per node
  • Number of HDFS sinks
  • Batch-sizes on all of the sinks and sources

사이트에 자세한 내용들이 나와있으니 그냥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 Kafka

- partition의 수는 클러스터상의 디스크수와 최소한 같아야 한다.

- Kafka는 Broker를 통해서 모든 작업을 처리하기 때문에 Broker의 숫자와 메모리를 충분히 확보해주어야 한다. 

- Flume Sink(Kafka Producers)는 일반적으로 Cluster내의 하나의 Partition에 대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많은 Sink를 갖는게 좋다. 그래야 Kafka Broker가 병렬처리가 원할해 진다.

Birthday problem과 같은 문제로 한 Partition에 2개이상 Sink가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 write가 균등하게 되면 좋다.



- Flume Source(Kafka Consumers) : Producer나 Partition에 수에 명확한 관계는 없다. Consumer의 수가 Partition의 수보다 많을 경우 idle상태가 발생한다. Consumer의 수를 Partition보다 작게 하면 모든 Consumer가 일을 하게 된다. 



4개의 Sink가 하나의 Partition을 남겨두고 일을 해서 idle이 발생하고 Kafka Source가 놀고 있는 상황



* Flume - Kafka

Flume과 Kafka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 Kafka Sink를 통해서 기록하고 Kafka Source를 통해서 읽어가는 경우

2. Flume Channel을 Kafka Channel로 사용하는 경우 (Channel의 type은 이외에도 memory, file 등이 있다.)

해당 사례에서는 Kafka channel의 throughput문제와 balanced configuration이 어려운 점을 주요 문제로 생각해서

Kafka Source , Sink방식을 채택했다고 한다. (memory channel의 유실 가능성을 염두하더라도..)



현재 본인은 2번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일단 사용하기가 편하다. 세팅도 간단하고..) 

사용량이 늘어날 것을 감안하면 1번 방식으로 바꿔야 할듯 하다. 

1번도 그렇게 어렵지는 않다. Kafka Source나 Sink는 이미 있다.


3. 결론

Flume-Kafka를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세팅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 Enough HDFS sinks to handle the output from the Kafka tier
  • A number of Kafka sources fewer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partitions
  • Sufficient number of partitions that the sources are not the bottleneck, and also that all disks in the Kafka cluster are utilized
  • Enough Kafka sinks such that we have a good probability of not leaving one or more partitions, and hence sources, idle


향후 해야할 일

 빅데이터에 관련된 구성요소들은 거의 대부분 오픈소스이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오픈소스는 공짜이며 가져다 쓰기만 하면 된다고 한다. 그럼 빅데이터는 쉽겠네?? 아무나 다하겠네..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아무나 가져다가 편하게 쓸 수는 있지만...

 OS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Java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개발 Maven/Gradle기반의 CTIP환경, 요구사항에 맞는 아키텍처 설계 및 오픈소스 선정/커스터마이징 , 추후 버전변경에 따른 릴리즈 관리, 기존 레가시 시스템과의 연계등등 해야할 일도 많고, 기본적으로 소프트웨어관련 일정수준의 지식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오픈소스를 한번이라도 열어보신분 들은 아시겠지만 정말 깔끔하다. OOP 5대원칙을 이해못하면 예쁘게 커스터마이징하기도 쉽지 않다. 거기다가 데이터분석, 머신러닝 등은 확률,통계,선형대수학 등등 우리를 괴롭혔던 공대수학이 최대의 적으로 등장한다. ㅋㅋ)


항상 공부해야 한다. 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