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uthorization Code

Authorization Code

- 권한 부여 승인을 위해서 자체생성한 Authorization Code를 전달하는 방식

- 기본이 되는 방식

- Refresh Token 사용이 가능

 

2. Client Credentials

- 클라이언트의 자격증명만으로 Access Token을 획득하는 방식

- 가장 간단한 방식

- 자격증명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에서만 사용되어야 함

- Refresh Token 사용 불가능

 

3. Implicit Grant

- 자격증명을 안전하게 저장하기 힘든 클라이언트에게 최적화된 방식

- Access Token이 바로 발급되기 때문에 만료기간을 짧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 Refresh Token 사용 불가능

 

4. Resource Owner Password Credentials Grant

- username, password로 Access Token을 받는 방식

- 클라이언트가 외부 프로그램일 경우 사용하면 안됨

- 권한서버, 리소스서버, 클라이언트가 모두 같은 시스템에 속해 있을때 사용해야 함 (대부분 비권장)

- 요청이 성공한 클라이언트는 메모리에서 자격증명을 폐기해야 함

- Refresh Token 사용 가능

 

<정리>

  Authorization Code Client Credentials Implicit Grant ROPC Grant
App 유형 SPA, Web App, Mobile Web Server Browser User / Client
권장사항 일반적     비권장
Refresh Token O X X O
Redirect Uri 필수 필수 권장 X

 

 

<참조>

- https://learn.microsoft.com/ko-kr/azure/active-directory/develop/v2-oauth2-auth-code-flow

- https://www.rfc-editor.org/rfc/rfc6749

<개요>

- Designing Data-Intensive Applications 를 읽고 그 중 분산시스템의 오류처리에 대한 부분 정리

https://icthuman.tistory.com/entry/The-Trouble-with-Distributed-Systems-1

 

<내용>

6. Timeouts and Unbounded Delays

- Timeout이 Fault를 감지하는 확실한 방법이라면 얼마로 설정해야 할까?

- Long timeout : Node가 죽었다는 것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오래 기다려한다. (사용자는 기다리거나 에러메시지를 확인한다.)

- Short timeout : fault를 빠르게 감시할 수 있지만 잘못 인식할 있는 위험이 있다. (spike같이 일시적인 현상도 있기 때문에)

 

* 문제점

- 작업이 살아있고 수행하는 중이었는데 Node를 죽은 것으로 간주한다면, 작업이 종료되기 전에 다시 수행해서 중복 수행될 수 있다.

- 만약에 노드가 죽었다면 다른 노드에 이 사실을 전달해야하고 이것은 다른 노드나 네트워크에 추가적인 부하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미 시스템이 고부하상황이었고 노드가 죽었다고 잘못 판단할 경우 상황은 더 악화될 수 있다.

  특히 죽은 것이 아니라 overload로 인해서 응답이 지연되고 있었다면 (죽은게 아니었다면) 에러가 계속 전파되어서 모든 노드가 죽었다고 판단하면서 모든 작업이 멈춰버릴 수도 있는 극단의 상황도..

 

*아름다운 상상으로 접근 (fictitious system)

- 모든 패킷이 d 시간내에 전달된다고 하고, 살아있는 노드는 해당 request를 처리할때 r 시간내에 가능하다면 

- 모든 성공적인 request는 response time이 2d + r내로 들어올 것이고

- 해당 시간동안 응답을 받지 못한다면 network 나 node 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 그렇다면 2d + r 은 reasonable timeout 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현실

-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시스템은 이를 보장할 수가 없다.

- Asynchronous network 는 unbounded dealy를 가지고 있다.( 최대한 빨리 도착하도록 노력은 하지만.. upper limit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 대부분의 서버 구현에서는 maximum time을 보장할 수가 없다. (Response time guarantees)

- Failure Detection을 위해서는 시스템이 빠르다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Timeout이 너무 짧으면 위에서 살펴본것처럼 spike등이 발생하였을 때 system off-balance

 

* Network congestion and queueing

- 네트워크의 패킷 지연현상은 대부분 queueing 때문이다.

a. 여러 노드에서 동시에 한 곳으로 패킷을 보내면, 네트워크 스위치는 Queue에 채우고 Destination network link에 하나씩 넣어줘야 하는데, 패킷을 얻기 위해서 잠시 기다려야할 수도 있고 만약 Queue가 가득 차게되면 packet 이 drop되어서 다시 보내야한다.

b. 패킷이 Desination 머신에 도착했을 때 Cpu core가 모두 사용중이면 request처리준비를 할때까지 OS에서 queued된다.

c. 가상환경을 사용중이라면 OS가 종종 중지된다. 이 시간동안 VM은 network로부터 데이터를 소비할 수 없기 때문에 VM monitor에 의해서 queued (buffered) 된다.

d. TCP는 flow control을 수행하여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속도를 제어하기도 한다. 또 TCP는 손실되는 패킷에 대해서 재전송을 해야하기 때문에 Delay를 두면서 timeout to expired 나 retransmitted packet을 기다린다.

(그래서 우리에게 이러한 기능이 필요없다면, 즉 유실방지,유량제어가 필요없고 지연된 데이터는 가치가 없는 상황이라면 UDP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이 된다. 예를 들어서 VoIP call)

 

* 환경적인 문제

 Public Cloud 같이 여러 고객들이 같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자원 (link, switch) ,각 NIC, CPU 등은 공유가 된다. 또 MapReduce같은 작업들은 병렬처리를 진행하면서 네트워크를 사용하기도 한다.

* 네트워크의 round trip시간의 분포를 적절하게 측정하여 예상되는 Delay 변동성을 결정하고,  Application의 특성을 고려하여 Failure detection delay  과  Risk of premature timeouts 간의 적절한 Trade Off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더 좋은 방법은 상수값의 timeout보다는 Response time 과 Jitter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관찰된 응답시간의 분포에 따라서 Timeouts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입니다.

-  Phi Accrual failure detector (for example, Akka and Cassandra)

- TCP retransmission timeouts

<개요>

- Designing Data-Intensive Applications 를 읽고 그 중 분산시스템의 오류처리에 대한 부분 정리

- 언제나 늘 그렇듯이 새로운 개념이라기 보다는 얼마나 체계적으로 잘 정리해서 핵심을 간직하는가에 집중

 

<내용>

1. Faults and Partial Failures

- Single Computer에서 작업을 할 경우 same operation은 same result를 만들어낸다. (deterministic)

- 우리가 수 대의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즉,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는 이와는 다르다.

- 분산처리 시스템에서는 예측할 수 없니 특정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partial failure 라고 부른다.

- partial failure의 어려운 점은 non-deterministic이라는 점이다. 여러 노드와 네트워크에 걸쳐서 무언가를 했을때 예상과는 다르게 성공하기도 하고 실패하기도 한다는 점인데 이러한 부분이 분산처리 시스템을 어렵게 만든다.

 

2. Building a Reliable System from Unreliable Components

- unreliable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어떻게 하면 reliable한 시스템을 만들수 있을까? 몇 가지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a. error-correcting code를 가지고 어느부분이 오류가 발생했는지 체크하고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b. TCP/IP : IP는 unreliable하다. 사라지거나 늦게 도착하거나 혹은 중복되거나.. 순서보장도 안된다. 여기에 TCP가 Transpory layer의 역할을 상위에서 해줌으로 사라진것은 다시 보내주고, 중복된것은 재거해주며, 발송순서에 맞게 재조립을 해준다.

물론 언제나 한계점은 존재한다. 데이터의 양이나, 혹은 네트워크 자체의 지연현상등은 커버하기 어렵다. 하지만 까다로운 일반적인 문제를 제거하고 나면 훨씬 쉬워지는것도 사실이다.

 

3. Unreliable Networks

- 분산처리에서는 shared-nothing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다른 machine끼리는 네트워크로 연결이 되며 각자의 disk나 메모리등에는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인터넷 환경에서 각 데이터 센터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더욱 이러한 구조인데 대부분 비동기처리로 진행이 된다.(asynchronous packet networks)

- 메시지를 보내기는 하지만 언제 도착할지, 도착이 하기는 할지.. 보장할 수가 없다. 

 a. request가 사라질 수 있다.
 b. request가 늦게 도착할 수 있다.
 c. 원격 node가 죽을 수도 있고
 d. 원격 node가 잠깐 멈출수도 있고. (gc)
 e. 원격 node가 request처리를 했지만 response가 사라질수 있다.
 f. 원격 node가 request처리를 하고 reponse를 보냈지만 늦게 도착할수도 있다.
- 종합해 보면 메시지를 보낸쪽에서는 무엇이 문제인지 알수 있는 방법이 없다.

* 이러한 문제를 처리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Timeout" 이다. 기다리는 것을 포기하는 것이다.

수신 node가 받았는지, 메시지가 사라졌는지는 여전히 알 수 없지만...

 

4. Network Faults in Practice

- 위에서 살펴본것처럼 reliable한 시스템을 만드는 법은 완벽한것은 없다. (왜? 네트워크는 여전히 불안하기 때문에..)

- 결국 소프트웨어에서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것을 지속적으로 테스트하도록 만든 프레임워크가 바로 Chaos Monkey)

 

5. Detecting Faults

- Faults를 감지해야 이후의 처리를 할수 있으니 감지하는 법을 살펴보자.

- 불확실성을 통해서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려우니, 거꾸로 특정상황에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FeedBack !

 a. 대상 포트에서 수신 프로세스가 없는 경우 OS에서 RST 또는 FIN을 전송한다.

 b. 노드 프로세스가 죽었지만 OS가 여전히 실행중이면 script로 다른 노드에 알릴 수 있다. (e.g Hbase)

 c. 데이터 센터에서 NIC 관리 기능을 사용중이면 하드웨어 수준으로 감지 할 수 있다.

 d. 라우터가 해당 IP에 연결할 수 없다고 확신하면 ICMP destination unreachable 패킷으로 응답할 수 있다. 

 

- 이렇게 빠르게 feedback처리를 하면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것도 역시 신뢰할 수는 없다! (네트워크이니까)

- 결국 request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는지는 application레벨에서의 positive response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개요>

- 최근 S3를 File,정적데이터 제공등의 목적으로 사용중인데 max-age 헤더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여 상세한 내용을 파악해 보았다. (HTTP 완벽 가이드 중 일부 내용 정리)

- HTTP 프로토콜은 통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OSI 7 Layer상 최상단에 위치한다.

 

- 즉, 해당 계층을 잘 활용하면 실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데이터를 컨트롤 할 수 있으며

 특히 캐시를 잘 활용하면 응답시간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다만 브라우저나 클라이언트등에서 일으키는 강제 Refresh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내용>

1. Cache-Control 헤어

- 클라이언트는 Cache-Control 요청헤더를 사용하여 만료제약을 조정할 수 있다.

Cache-Control: max-stale
Cache-Control: max-stale=<s>
캐시는 신선하지 않은 문서라도 자유롭게 제공할 수 있다.
<s>가 지정되면, 클라이언트는 만료시간이 <s>만큼 지난 문서도 받아들인다.
완화
Cache-Control: min-fresh=<s> 클라이언트는 지금으로부터 적어도 <s>초 후까지 신선한 문서만을 받아들인다. 엄격
Cache-Control: max-age=<s> 캐시는 <s>초보다 오랫동안 캐시된 문서를 반환할 수 없다.
나이가 유효기간을 넘어서게 되는 max-stale지시어가 함께 설정되지 않는 이상 더엄격하게 만든다.
엄격
Cache-Control: no-cache-Pragma:no-cache 이 클라이언트는 캐시된 리소스는 재검사하기 전에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엄격
Cache-Control: no-store 이 캐시는 저장소에서 문서의 흔적을 최대한 빨리 삭제해야 한다.
그 문서에는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엄격
Cache-Control: only-if-cached 클라이언트는 캐시에 들어있는 사본만을 원한다.  

* 이는 완벽한 시스템이 아니다.

* 유효기간을 먼 미래로 설정한다면, 어떤 변경도 캐시에 반영되지 않을 것이다. 

* 유효기간을 사용조차 하지 않아서 문서가 얼마나 오래 신선할 것인지 캐시가 알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 이는 DNS와 같은 많은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ttl"의 기법의 한 형식이다.

다행히 HTTP에는 DNS와 달리 클라이언트가 만료일을 덮어쓰고 강제로 재로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있다.

 

2. 나이와 신선도 계산

- 캐시된 문서가 제공되기에 충분히 신선한지 알려면 두 가지값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 바로 캐시된 사본의 나이와 신선도의 수명이다.

- 충분히 신선한가?

 $나이 < $신선도 수명

 

다음 사항이 주 고려사항이다.

- 캐시는 문서응답이 어디에서 왔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헤더를 통해서 계산해야 한다.

- 신선도 수명은 해당 문서의 나이가 신선도 수명을 넘었다면 제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문서의 유효기간 뿐만 아니라 영향을 주는 클라이언트의 모든 요청을 고려해야 한다. (e.g 네트워크 지연) 

 

A. 겉보기 나이는 Date헤더에 기반한다.

$겉보기_나이 = max(0, $응답을 받은 시각 - $Date_헤더값)

$문서가_캐시에_도착했을때의_나이 = $겉보기 나이

 

- 모든 컴퓨터가 똑같이 정확한 시간을 갖고 있다면 단순히 현재시간 - 문서를 보낸 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 하지만 모든 시계는 동기화되지 않으며 심지어 오차가 심할 경우에는 음수가 되기도 한다. max(0, )처리가 필요한 이유

- 이러한 문제를 클럭 스큐라고 한다. 

 

B. 점층적 나이

- 그래서 우리는 이에 대한 대응방법으로 프락시나 캐시를 통과할때마다 Age헤더에 상대적인 나이를 누적해서 더하도록 한다.

- 이 방법은 서버간의 시간비교나 종단 시간비교가 필요없기 때문에 유용하다. (내부시계를 사용하여 체류시간 계산)

- 문서가 각 어플리케이션에 머무른시간과 네트워크 사이를 이동한 시간만큼 Age헤더의값을 늘려야 한다.

- 비 HTTP/1.1 장치의 경우 헤더를 고치거나 삭제하기 때문에 유의해야 하며, 따라서 Age 헤더는 상대나이에 대한 모자란 추정값의 상태로 본다.

 

$보정된_겉보기_나이 = max($겉보기_나이, $Age헤더값)

$문서가_캐시에_도착했을때의_나이 = $보정된_겉보기_나이

 

*신선한 컨텐츠를 얻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max를 이용해서 보수적으로 계산한다.

 

C. 네트워크 지연에 대한 보상

- 트랜잭션은 느려질 수 있다. (캐시의 주된 동기)

- 매우 느린 네트워크, 과부하 서버, 트리팩등의 발생은 문서의 나이 추정에 대한 추가 계산이 필요하다.

- Date헤더는 언제 문서가 원 서버를 떠났는지 나타내주고 ( *프락시/캐시는 절대 이 헤더를 수정해서는 안된다), 캐시로 옮겨가는 중 얼만큼 시간이 걸렸는지 말해주지 않는다.

- 서버 <> 캐시 왕복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다. (왜나하면 요청시각과 도착시간을 알고 있으니까)

 

$겉보기_나이 = max(0, $응답을 받은 시각 - $Date_헤더값)

$보정된_겉보기_나이 = max($겉보기_나이, $Age헤더값)

$응답_지연_추정값 = ($응답을_받은_시각 - $요청을_보낸_시각)

$문서가_캐시에_도착했을때의_나이 = $보정된_겉보기_나이 + $응답_지연_추정값

 

D. 최종 나이계산

- 이 응답이 캐시에 한번 저장되면, 나이를 더 먹게 된다.

- 그 문서의 현재 나이를 계산하기 위해서 그 문서가 캐시에 얼마나 오랫동안 머물렀는지 알아야 한다.

 

$나이 = $문서가_캐시에_도착했을때의_나이 + $사본이_얼마나_오래_우리의_캐시에_있었는지

  캐시된 문서의 나이
서버   요청네트워크지연 서버가 처리하는 시간 응답네트워크지연      
캐시 요청한_시각       응답을_받은_시각 캐시에 체류한 시간 현재_시각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가_요청한_시각

 

<정리>

- HTTP에서는 문서의 나이와 신선도를 계산하여 캐시를 제공한다.

- 신선도 수명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제약조건에 의존한다.

- 인터넷의 특성상 클럭스큐와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하며 문서의 나이를 계산할때 이를 고려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 다음 글에서는 신선도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에 대해서 정리한다.

<개요>

- Designing Data Intensive Applications 를 읽고 그 중 Transactions에 대한 내용을 정리.

- 이전글에서 Weak Isolation Levels 중 Read Commited, Snapshot Isolation(Repeatable Read)에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고

 이번 글에서는 Preventing Lost Updates, Write Skew (Phantoms) 에 대해서 살펴본다.

- 이전글 https://icthuman.tistory.com/entry/Transactions-2

 

Transactions #2 (Atomicity, Isolation)

- Designing Data Intensive Applications 를 읽고 그 중 Transactions에 대한 내용을 정리. - 이전글 https://icthuman.tistory.com/entry/Transactions-개념정리-1 Transactions #1 (Basic) - Designing Data Intensive Applications 를 읽고 그

icthuman.tistory.com

 

<내용>

Weak Isolation Levels

 

Preventing Lost Updates

- read commited 와 snapshot isolation은 주로 동시 쓰기가 있는 경우, 읽기전용 트랜잭션의 볼수 있는 내용을 보장하는 것이다.

- 이전 글에서는 두 트랜잭션이 동시에 쓰는것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고, 특정 유형의 쓰기-쓰기 에 대해서만 살펴봤다.

- 몇 가지 다른유형의 충돌을 살펴 볼텐데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Lost Updates 이다.

- 아래 그림을 살펴보자.

TimeLine 1 2 3 4
User #1 getCounter 42 + 1 setCounter 43  
Data 42 42 43 43
User #2   getCounter 42 + 1 setCounter 43
 

- 두 Client간의 race condition이 발생하였다. 주로 App이 read - modify - write의 사이클을 가지고 있을때 발생한다.

- 즉 write가 발생하기 전에 그 사이에 일어난 modification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Solutions

Atomic write Operations

- 많은 DB가 atomic update operations를 제공하기 때문에 App에서 해당 로직을 구현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일반적인 Best Solution

 예) UPDATE counters SET val = val + 1 WHERE key = 'foo';

- 일반적으로 DB내부에서 execlusive lock을 통해서 구현하기 때문에 (update할때 읽을 수 없다!) "Cursor Stability 유지" 

- 다른 방법으로 all atomic operations를 single thread 에서 수행하는 방법도 있다. (성능 고려)

 

Explicit Locking

- DB에서 해당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App에서 명시적으로 update 될 object를 잠그는 방법이다. 

- 잠금을 수행후 read - modify - write 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트랜잭션이 같은 object 에 접근할 경우에 첫 번째 read - modify - write 가 완료될 때 까지 강제로 대기한다.

예 )

BEGIN TRANSACTION

SELECT * FROM ... WHERE ... FOR UPDATE;  (해당쿼리로 반환된 all rows lock !)
UPDATE ... 

COMMIT;

 

Automatically detecting lost updates

- atomic operations & locks : read - modify - write 를 순차적으로 하여 lost updates 를 막는다.

- 대안 : 병렬 수행을 허락하고, Transaction Manager 가 lost update를 감지하면, 트랜잭션을 중단하고 강제로 read - modify - write 를 retry 한다!

- 장점 : DB가 이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 with Snapshot Isolation

PostgreSQL repeatable read automatically detect
and abort the offending transaction
Orale serializable
SQL snapshot isolation
MySQL, InnoDB repetable read X

 

Compare-and-Set

- 우리가 CAS연산이라고 부르는 방법이다. DB가 Transcations를 제공하지 않는 atomic compare-and-set을 찾는 것이다. (Single-object writes)

- 마지막으로 값을 읽은 후 값이 변경되지 않았을때에만 업데이트가 발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 만약 변경이 일어났다면? read-modify-write연산을 재시도한다. 반드시!

 

주의! Conflict replication

- Locks and Compared and Set은 Single up-to-date, copy of the data를 가정한다.

- replicated DB에서는 여러 노드에 복사본이 존재하고, 데이터 수정이 다른 노드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즉, 다시 말하면 multi leader 또는 leaderless replication에서는 write가 동시에 발생하고, 비동기 연산이 있다면 보장할 수 없다. (Linearizability)

- 대신 "Detecting Concurrent Writes" 챕터에서 살펴본 내용처럼 concurrent writes 가 충돌된 값의 버전들을 생성하고 (App 또는 별도의 자료구조활용), 이러한 충돌을 versions를 통해서 reslove , merge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 Atomic Operations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특히 Commutative한 Actions이라면 !)

- 슬프게도.. 많은 replicated DB에서는 기본값으로 Last Write Wins 이다.

 

<정리>

- 개인적으로 매우 유익했던 챕터이다. 결국 두 개 이상의 동시쓰기가 발생한다면 해결방법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해당 사이클을 통째로 묶는다.

 2) 동시수행을 제한한다. ( Lock or Single Thread )

 3) 일단 진행시켜! 에러나면 다시 시도

 

- 멀티 노드를 가지는 Database라면 여러 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데이터에 대한 복제 / 연산이 일어나기 때문에

 1) Single Leader를 통해서 제어하던지(Hbase 같은)

 2) 마지막에 Write한 값으로 저장

 3) 별도의 Application이나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충돌버전을 관리하고 resolve / merge 

- 그래서 대부분의 분산병렬처리 오픈소스 진영에서 zookeeper를 사용하고 있는 듯 하다.

 

- 다음 글에서는 이 글에서 다루지 못한 Isolation Level ( Write Skew, Phantoms read )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 분산환경의 Consistency 에 대해서 정리하도록 해야겠다.

<가상의 시나리오>

- Ingestion Layer에서 수백개의 병렬처리를 통해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으며, 해당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파티션별로 Raw API 제공되고 있음

- Role, Scheduler, Auth 등등 여러 가지 문제 때문에 신규 API 를 만드는 데 시간이 필요함 (파티션별로 나누어진 데이터를 합쳐서 연산해야 함)

-  Application Layer에서 Raw API들을 반복 호출하여 결과값을 연산하도록 로직을 구성하도록 하며 최대한 처리속도를 끌어올리고 자원효율을 극대화하자.

 

<접근방법>

- 다수의 API 호출 후 결과를 조합해야 하는 경우 Web client를 활용하여 비동기 호출로 효과를 봤었다. (이전 포스트 참조)

https://icthuman.tistory.com/entry/Spring-WebClient-%EC%82%AC%EC%9A%A9%EC%8B%9C-%EC%A3%BC%EC%9D%98%EC%A0%90

 

Spring WebClient 사용 #1

- Async API Call 후 응답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현상이 있습니다. - 그 여파로 내부적으로 AtomicInteger를 이용하여 호출Count를 처리하는 로직이 있는데 해당 로직이 수행되지 않아서 버그가 발생

icthuman.tistory.com

https://icthuman.tistory.com/entry/Spring-WebClient-%EC%82%AC%EC%9A%A9-2-MVC-WebClient-%EA%B5%AC%EC%A1%B0

 

Spring WebClient 사용 #2 (MVC + WebClient 구조)

- Spring 이후 버전에서는 RestTemplate가 deprecated될 예정이며 WebClient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 현재 구성 중인 시스템에는 동기/비동기 API가 혼재되어 있으면서, 다양한 Application / DB를 사용중이기 때

icthuman.tistory.com

https://icthuman.tistory.com/entry/Spring-WebClient-%EC%82%AC%EC%9A%A9-3-Configuration-Timeout

 

Spring WebClient 사용 #3 (Configuration, Timeout)

이전글 Spring WebClient 사용 #2 (MVC + WebClient 구조) Spring WebClient 사용 #2 (MVC + WebClient 구조) - Spring 이후 버전에서는 RestTemplate가 deprecated될 예정이며 WebClient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 현재 구성 중인 시

icthuman.tistory.com

- 신규 프로젝트에서는 기술스택을 Spring WebFlux 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a. 기본적으로 Spring, Java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하지만 Legacy 코드는 없다.

b. 데이터에 대한 읽기 연산이 대부분이고, 특별한 보안처리나 트랜잭션 처리가 필요없다. (참조해야할만한 Dependecny 가 적다.)

c. 저장공간으로 Redis Cache를 활용한다. 즉, Reactive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다.

d. 다수의 API 호출을 통해서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 낸다.

즉, IO / Network의 병목구간을 최소화 한다면 자원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진행내용>

- 기존의 For loop 방식과 Async-non blocking 차이,그리고 Mono / Flux 를 살펴본다. (Spring WebFlux) 

@ReactiveRedisCacheable
public Mono<String> rawApiCall(...) throws .Exception {

Mono<String> response = webClient
                .get()
                .uri(url)
                .retrieve()
                .onStatus(HttpStatus::is4xxClientError, clientResponse -> Mono.error(new Exception(...)))
                .onStatus(HttpStatus::is5xxServerError, clientResponse -> Mono.error(new Exception(... )))
                .bodyToMono(String.class)
                .timeout(Duration.ofMillis(apiTimeout))
                .onErrorMap(ReadTimeoutException.class, e -> new Exception(...))
                .onErrorMap(WriteTimeoutException.class, e -> new Exception(...))
                .onErrorMap(TimeoutException.class, e -> new Exception(...));
                
                return response;
}

webClient를 이용해서 타 API를 호출하는 부분이다. 응답값에는 다수의 건이 포함되어 있으나 해당 데이터를 보내는 쪽에서도 병렬처리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Collection 이나 Array 형태로 처리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그냥 Raw line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Spring MVC기반에서는 이 값을 꺼내기 위해서 결국 block하고 값에 접근하는 로직이 필요하다. 굳이 코드로 구현하자면 아마도 이렇게 만들어 질 것이다.

List<ApiResponse> ret = new ArrayList<>();
for(String value : Collection ... ){

   String contents = apiService.rawApiCall(value).block();

   String[] lines = contents.split("\n");
   for(String data : lines){
       if(StringUtils.hasText(data)){

           ApiResponse apiResponse =  mapper.readValue(data, ApiResponse.class);

           if(populationHourApiResponse .. ){
               // biz logic
				
               FinalResponse finalResponse = new FinalResponse();
               // setter
               ...
               ..
               
               ret.add(finalReponse);
           }
       }
   }
}

이 코드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 block()을 수행하게 되면 비동기 넌블러킹 처리의 여러 장점이 사라진다.

- 오히려 더 적은 수의 쓰레드를 사용해야 하는 구조특성상  block이 생기면 더 병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 return 에 얼만큼의 데이터가 담길지 모르게 된다.

- API Call 이후 biz logic의 수행시간이 길어질 수록 전체 응답시간은 더욱 길어진다.

 

해당 내용을 block없이 처리하도록 Flux를 최대한 활용하여 작성해보았다.

public Flux<FinalResponse> getDataByConditionLevel1{

    List<Mono<String>> monoList = new ArrayList();
    for(String value : Collections ...)){
        monoList.add( apiService.rawApiCall(value) );
    }

    return 
        Flux.merge(monoList)
                .flatMap(s -> Flux.fromIterable(Arrays.asList(s.split("\n"))))
                .filter(s -> StringUtils.hasText(s))
                .map(data -> {
                    try {
                        return mapper.readValue(data, PopulationApiResponse.class);
                    } catch (JsonProcessingException e) {
                        log.error(e.getLocalizedMessage());
                    }
                    return new ApiResponse();
                })                                                                      
                .filter(aApiResponse -> ... biz logic)     
                .map(apiResponse ->
                     new FinalResponse(...)
                );
  }

주요하게 바뀐부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API응답의 결과를 block해서 기다리지 않고 Mono를 모아서 Flux 로 변환한다.

Mono는 0..1건의 데이터, Flux는 0..N건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되어있다.

즉 개별 Mono를 대기하여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Flux로 모아서 단일 Stream처럼 처리할 수 있다,.

 

2.  값이 아니라 행위를 넘겨준다.

Spring WebFlux에서는 기본적으로 Controller - Service - Dao 등의 Layer간 이동을 할때 Mono / Flux 를 넘겨준다.

즉, 어떠한 값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Mono / Flux로 구성된 Publisher를 전달해주면 subscribe를 통해서 실제 데이터가 발생될 때 우리가 정의한 Action을 수행하는 형태가 된다고 이해하면 될듯 하다. (Hot / Cold 방식의 차이가 있는데 일단 Skip하도록 한다.)

 

위의 로직은 각 개별 데이터 간의 연산이나 관계가 없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변경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해당 데이터를 다시 조합하거나 Grouping 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면 약간 더 복잡해질 수 있기 때문에 고민이 필요하며 각 비지니스 케이스에 적합한 단위와 연산으로 재설계를 해주는 것이 좋다. ( -> 필수다 !)

예를 들어서 rawApiCall에 필요한 인자값이 yyyyMMdd hh:mm:ss 형태의 timeStamp라면 특정기간 내 시간대별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Call을 하고 조합해야 한다.

즉 수행해야 하는 액션은 다음과 같다.

- Flux를 응답받는 메소드를 다시 감싸서

- 응답결과를 적절하게 Biz Logic에 따라서 처리한 뒤

- aggreation 을 통하여 새로운 응답을 만들어 낸다. (e.g 그룹별 개수, 합계, 평균 등등)

 

코드로 작성해보면 이러한 형태가 될텐데

public Flux<NewResponse> getDataByConditionLevel2{	

    List<Flux<NewResponse>> ret = new ArrayList();
        for( ; ; ){
            ...
            // Biz Logic...
            ...
            
            Flux<NewResponse> flux = getDataByConditionLevel1( ...  )
                     .groupBy(apiSummary -> apiSummary.getKey() )
                     .flatMap(groupedFlux -> groupedFlux.reduce( (arg1, arg2) -> ApiSummary.add(arg1, arg2) )
                                                        .map(apiSummary -> NewResponse.valueOf( ...+ groupedFlux.key(), apiSummary ))
                                                      );

            ret.add(flux);
        }
        return Flux.merge(ret);

 위의 코드에서 살펴볼 부분은 세 가지이다.

- groupBy : getDataByConditionLevel1 메소드에서 받아온 결과를 Key단위로 Grouping을 수행한다.

  이때 수행결과로는 GroupedFlux가 리턴되는 데 이는 중첩된 데이터 형태로 flatMap 을 통해서 작업하는 것이 수월하다.

 

- reduce : groupBy 로 분류된 데이터들을 key 단위로 reduce 하게 되는데 ( 자주 보게되는 wordCount sample과 유사하다).

  Java내에는 Integer , Double등의 타입에서 ::sum 메소드를 제공하고 있지만 우리가 직접 작성한 Class 에 대해서는 연산메소드를 정의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위 예제에서는 ApiSummary.add(arg1, arg2) 이다.

 최종 객체변환의 편의성을 위해서 NewResponse.valueOf 메소드도 정의해서 사용하였다.

 

- Mono/Flux간 변환

getDataByConditionLevel1 메소드에서 살펴본것 처럼 여러 개의 Mono는 하나의 Flux로 변환이 가능하다.

또한 Flux에 대한 reduce 연산은 Mono로 변환이 된다.

그리고 여러 개의 Flux 를 합쳐서 하나의 Flux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순서보장이 필요한지, 병렬처리가 필요한지 등 여러가지 요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연산자를 사용하도록 한다.

 

<정리>

- 처음에는 blocking 로직을 벡엔드에서 가지고 있는 것이 적합하지 않아서 FrontEnd에서 해당 API들을 호출하여 결과값을 연산하는 형태로 접근했었다. (Promise all)

- 일주일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과값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총 24 * 7 = 168 회 API 호출이 필요했고, 프론트에서 처리시간은 최악의 경우 15초를 넘어가는 케이스가 발생하였다.

- Spring Web Flux를 활용하여 Backend에서 처리하도록 개선하였으며 또한 Raw API Call을 수행하는 메소드에 별도로 개발한 Cache Aspect를 적용하였다.

그 이유는 Spring Cache Manager에서 async/non-blocking에 대한 표준 구현체가 없다보니 직접 CacheMono/Flux와  ReactiveRedisTemplate등을 사용하여 값을 처리하도록 구현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 포스트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결과>

- 최초 호출시 약 4~5초 정도 수행시간이 소요되며, 각 Raw API 캐시 이후에는 약 1초 정도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etwork 처리에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실 개별 API Call만 캐시해도 성능이 대폭 향상된다.

- 하지만 아직 몇 가지 더 살펴보고 싶은 욕심이 있는데.. 

 a. Mono / Flux 레벨에서의 캐시

 b. Raw API뿐만 아니라 최종 API에 대한 값 캐시 

 (각 Raw API 응답값이 변하기도 하고, 워낙 대상이 많다보니 캐시대상을 늘릴 경우 저장공간에 대한 우려가 있다.)

 c. Reactor에서의 병렬처리

 (Schedulers, parallel 등)

 

<참조>

Reactor에 대한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다.

https://godekdls.github.io/Reactor%20Core/reactorcorefeatures/

 

Reactor Core Features

리액터 코어 기능 한글 번역

godekdls.github.io

 

https://icthuman.tistory.com/entry/Reactive-Programming-1-%EA%B4%80%EB%A0%A8-%EA%B0%9C%EB%85%90%EC%A0%95%EB%A6%AC

 

Reactive Programming #1 (관련 개념정리)

최근 Reactive Programing이라는 개념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서 관련하여 개념들을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1. Event DrivenReactive를 알기 위해서 먼저 Event Driven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Event Driven은 말 그대로

icthuman.tistory.com

 

+ Recent posts